티스토리 뷰

반응형

1. 채권투자 수익 구조

채권에 투자하면 이자수익과 자본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자수익은 채권가격 변동에 관계없이 채권만기가 도달하면 얻을 수 있으며 자본손익은 채권가격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시세차익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채권가격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자본수익은 금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니 확실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채권가격과 금리의 관계

채권가격은 금리가 결정합니다. 채권금리가 하락하면 채권가격이 상승하고 채권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합니다. 즉 금리와 가격은 역의 관계입니다.

 금리하락 → 가격상승 → 자본이익
 금리상승 → 가격하락 → 자본손실

 

채권을 공부하다보면 '금리'에 대한 부분이 헷갈립니다. 특히 채권이라는 상품은 금리가 고정이 되어있는 걸로 아는데 채권금리가 하락하면 채권가격이 상승한다는 말이 이해되질 않았습니다.

 

저는 공부를 하면할 수록 더 헷갈렸었는데, 나중에야 금리라는 단어가 경우에 따라 채권수익률 뜻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시장금리라는 뜻 사용되었기 때문인걸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문맥에 따라 금리가 채권수익률을 말하는 지 시장금리를 말하는지 잘 이해해야합니다.

 

위 박스의 금리라는 단어를 채권수익률로 받아들이면 채권수익의 변동을 이해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10년 만기 10% 고정금리 채권을 1천만원 보유하면 10년 후에 1백만원의 수익을 얻습니다. 이때 채권수익률을 10%라고 보는 것입니다. 채권 1천만원을 보유했으니 10년 후 1백만원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고정금리10%는 그대로인데 채권수익률이 8%로 하락하였다면 해당 채권은 80만원의 수익만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채권은 1백만원의 기대수익을 가지고 있는 상품이니 이론적으로는 기대수익의 차익인 20만원이 어딘가에 반영이 되어야합니다. 결국 기대수익은 보존되어야하니 20만원의 차익은 채권가격에 반영(채권가격 상승)된다고 생각하시면 채권 공부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이해를 돕기위한 보조적인 수단으로만 받아들주세요)

 

위 박스에 있는 금리를 시장금리로 이해해도 채권가격과 금리의 변화는 동일합니다.

위와 동일하게 10년 만기 10% 고정금리 채권을 1천만원 보유해서 10년 후 1백만원 수익을 기대하고 가정합니다. 채권 고정금리는 시장금리와 연동되어 발행되는 데 만약 시장금리가 내려갔다고 가정한다면  신규로 발행되는 채권의 고정금리도 시장금리에 맞추어 내려가게됩니다. 이로 인해 기존에 발행되어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고정금리 10% 채권이 신규채권보다 매력적인 상품이 됩니다. 사람들은 신규발행 채권보다 기존발행 채권을 더 매수하고 싶어하니 기존채권의 가격은 올라갑니다.

 

해당 매커니즘을 이해한다면 채권에 대한 움직임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3. 채권가격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각국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금리를 조정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생각되면 금리를 올리고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생각되면 금리를 낮춥니다. 즉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각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올릴 것이고 금리를 올리게 되면 채권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그런데 왜 금리를 올리면 채권가격이 하락할까요? 그 이유는 채권금리는 고정되어 있어 이자수익도 고정되어 있는데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기존채권 이자수익의 실질구매력이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즉 1천만원으로 10년 만기 10% 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면 1백만원의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가치는 하락하기에 1백만원에 대한 10년 후 실질구매력도 지금보다 많이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신규로 발행하는 채권의 이자율은 기존 발행된 채권의 이자율보다 높을 수 밖에 없고 기존 채권에 대한 매력은 점점 더 하락하여 매도자가 많아지고 채권가격이 하락합니다.

 

 인플레이션 증가 → 화폐가치 하락 → 기존채권 이자수익 실질구매력 하락 → 신규채권 발행 이자율 상승 →기존채권 수요감소 → 기존채권 가격하락

 

4. 총평

채권의 변동을 잘 관찰하고 해석한다면 투자에 도움이 됩니다. 미스터 마켓을 이해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공부하고 반복적으로 적용해보아야합니다. 저도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