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도시형생활주택 건물에 대해 HUG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했습니다.

 

해당 건물은 2018년 말에 입주했지만, 전세금을 못 돌려받는 일은 나와 상관없을 것이라 생각했기에 지금 껏 전세보증보험을 들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온갖 방송매체에서 부동산 하락, 전세사기, 역전세 등의 뉴스가 하루가 멀다하고 계속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혹시 나도? 라는 걱정을 떨쳐버릴 순 없더군요. 그래서 이번에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했습니다. 

 

제가 사는 건물은 도시형생활주택이며 다세대가 함께 모여있는 원룸형 주택입니다.

인터넷에 찾아보면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려면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HF 한국주택금융공사, SGI서울보증보험 중 1곳을 선택하라고 하지만 가격, 조건 등을 살펴보면 HUG 주택도시보증공사를 선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참고로 저처럼 도시형생활주택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인터넷으로 가입이 안되니 아래의 서류를 챙겨서 지점을 직접 방문하셔야합니다. 전세보증보험을 들때 수고로움을 덜기 위해서 아래의 사항을 꼭 챙기세요

 

<모든 서류를 다 챙겨라!>

서류는 최근 1개월 내 발급된 걸 챙겨가세요. 그리고 과하게 많이 챙겨가세요. 자체판단으로 이거 저것 빼먹다보면 저처럼 고생합니다.

 

  1) 주민등록등본 : 정부24에서 출력하세요 

  2) 전세계약서 사본 : 최초계약서와 갱신계약서 모두 가져가세요, 확정일자 신고한 것도 모두 챙기세요

  3)전세보증금 지급 확인서류 : 영수증 꼭 챙기세요. 은행에서 뽑은 이체확인증도 가능합니다.

  4)전입세대열람확인서 : 주민센터 직접 가서 현장에서 발급받아야합니다.

  5)부동산등기부등본 : 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발급받아야합니다.

  6)건축물대장 : 정부24에서 발급받으세요

  7)기타 서류 : 보증료 할인 받을 수 있는걸 챙겨가시면 좋습니다.

 

<집 근처 은행에서도 가입이 가능하다>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기 위해 HUG사무소를 굳이 찾아가실 필요없습니다. 근처 은행에서도 가입이 가능해요!

 

저는 처음에 HUG 지점에 직접 찾아갔다가 서류 미비로 다시 돌아와야 하는 상황에 처했는데, 직원분이 친절하게 집근처 은행에서도 가입이 가능하다고 알려주더군요. 결국 은행에 가서 했습니다. 전세금에 대출이 포함되어 대출 받은 은행으로 가서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세요. 그게 행정처리하는데 더 편합니다.

 

<5월 이전에 전세보증보험 가입하세요!>

지금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면 전세금의 100%를 보장받을 수 있지만 5월이 넘어가면 전세금의 90%만 보장받을 수 있어요!  전세보증보험 가입 의향이 있으신분들은 얼른 가입하세요!

 

전세금 1억1천만원에 약 2년간 보장받는 조건으로 약 33만원의 보증료를 지불했습니다.

1달에 약 1~2만원 정도 부담하는 거죠.  전세보증보험을 모두 가입하고나면 아래처럼 알려줍니다! 

보증료가 아깝다는 생각이 잠깐 들긴했지만, 그래도 전세보증보험 덕분에 전세금을 못돌려받는 그런 일은 겪지 않을테니 마음은 편합니다. 전세보증보험 꼭 드세요~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