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일반적으로 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금리가 인하되면 채권가격은 상승하고 금리가 인상되면 채권가격은 하락한다.
그 이유는 금리 인하 시 기존에 발행된 채권보다 향후 발행될 채권의 금리 더 낮기 때문에 기존 채권에 대해 프리미엄이 붙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장기채권의 경우 듀레이션이 길기 때문에 더 큰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금리 인상 시기는 반대로 작용한다.
그런데 24년 10월 현재 금리가 인하했는데 30년 장기국채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왜 그럴까? ...선반영, 기대인플레이션...가장 중요한건 미국이 채권을 계속 발행하고 있다. 줄일 생각을 안한다. 트럼프도 해리스도 모두 채권을 더 발행할 것이다.
변화하는 변곡점의 시기는 변화무쌍하다. 파도를 보지말고 바람을 봐야한다. 파도와 바람을 볼 수 없으면 그냥 아무것도 안하는게 좋다. 일단 나는 아무것도 볼 줄 모른다.
장기(거시)로 보면 큰 추세의 방향성대로 움직이나 단기(미시)로 보면 방향성 없이 이러저리 출렁인다
금리 인상 시기 은행주가 움직였던 상황을 기억해라. 결국엔 일반적인 정론대로 움직였지만 세부적인 순간순간은 그렇게 안움직였다. 올라갈 줄 알았지만 한번에 안 올라갔다. 결국엔 올라갔지만 말이다.
반응형
'주식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매일지) 금융주 전량 매도, LG화학 전량 매수 (10) | 2024.10.27 |
---|---|
(경제기사 공부_금융) 금리인하에 따른 금융주 변화 (14) | 2024.10.20 |
(부동산 공부) 국채금리, 물가상승율 그리고 부동산 가격 (12) | 2024.10.13 |
(부동산 공부) 워렌버핏의 주주서한을 통해 보는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하락 (18) | 2024.09.29 |
(주식 공부) 나무 HTS 프로그램_프로그램 매매 확인 (2) | 2024.09.28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부동산가격
- 포스코
- 부동산버블
- 거시경제
- 로마
- 금리
- 체코
- 포스코홀딩스
- 미국주식
- 채권가격
- CPI
- 기업은행
- 신혼여행
- 주식시장흐름을읽는법
- 베네치아
- 오블완
- 금리인상
- 금호석유
- 유나이티드항공
- 일본부동산버블
- 티스토리챌린지
- 은행주
- 우라가미구니오
- 삼성전자
- 금리상승
- 이탈리아
- 피렌체
- 장단기금리차
- 부동산
- 삼성전자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